Baby Yoshi Blinking
백준 [2581] - 소수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M = int(input()) N = int(input()) sosu = list() for i in range(M, N+1): counts = 0 if i >1: for j in range(2, i): if (i%j) == 0: counts += 1 if counts == 0: sosu.append(i) if len(sosu) > 0: print(sum(sosu)) print(min(sosu)) else: print(-1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아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M과 N에 저장한다. - 나중에 소수들을 저장하기 위해 sosu를..
백준 [1978] - 소수 찾기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number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counts = N for i in range(N): if numbers[i] == 1: counts -=1 for j in range(2, numbers[i]): if (numbers[i]%j) == 0: counts -= 1 break print(counts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(N은 입력받을 수의 개수)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split()으로 구분한 뒤, int형..
백준 [10757] - 큰 수 A+B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+B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split()으로 구분한 뒤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map()으로 A, B에 각각 할당한다. - pinrt()를 통해 A+B의 값을 출력한다. cf.) 이전에 풀었던 문제인데 왜 다시 등장했는지 궁금해서 찾아본 결과 - 다른 언어에서는 입력값이 지나치게 클 경우 메모리가 터지지만, 파이썬은 오버플로우가 없기 떄문에 터지지 않는다고 한다. *참고 https://ahracho.github.io/posts/python/2017-05-09..
백준 [2839] - 설탕 배달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sugar = 0 while True: if (N%5) == 0: sugar += (N//5) print(sugar) break if N >= 3: N -= 3 sugar += 1 else: print(-1) break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(N : kg 수) - 봉지 수인 sugar를 0으로 초기화 시켜준다. - while True: 반복문 while문의 조건을 True로 하여 무한반복 되게 한다. - if (N%5)==0: 만약 N을 5로 나눴을 때 0이라면,..
백준 [2775] - 부녀회장이 될테야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T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T): k = int(input()) n = int(input()) floor_0 = list() for j in range(1, n+1): floor_0.append(j) for a in range(k): counts = list() for b in range(n): counts.append(sum(floor_0[:b+1])) floor_0 = counts print(counts[-1]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T에 저장한다. (T는 테스트 케이스 개수..
백준 [10250] - ACM 호텔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T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T): H, W, N = map(int, input().split()) number = (N//H)+1 floor = N%H if (N%H) == 0: number = N//H floor = H print(f"{floor*100+number}"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T에 저장한다. (T는 테스트 데이터 개수) - for i in range(T): T만큼 반복문 for문을 돌린다. - 반복문이 돌아갈 때마다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split(..
백준 [2869] - 달팽이는 올라가고 싶다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, math input = sys.stdin.readline A, B, V = map(int, input().split()) day = (V - B) / (A - B) print(math.ceil(day)) - 달팽이가 하루에 올라가는 길이 : A-B - 달팽이가 총 올라가는 길이 : day * (A-B) - 달팽이가 올라가야 하는 길이 : V-B (정상에 올라가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고려해서 미리 B만큼 빼줬다고 생각하면 된다.) [식] (V-B) = day * (A-B) → 정리 : day = (V-B) / (A-B) → 소수로 나오는 경우가 있어, 올림을 해줘야 한다.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..
백준 [1193] - 분수찾기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X = int(input()) end = 0 n = 0 while X > end: n += 1 end += n if (n%2)==0: a = n b = 1 while X < end: a -= 1 b += 1 end -= 1 else: a = 1 b = n while X < end: a += 1 b -= 1 end -= 1 print(f"{a}/{b}") *규칙 찾기 1번째 - 1/1 2번째 - 1/2 2/1 3번째 - 3/1 2/2 1/3 4번째 - 1/4 2/3 3/2 4/1 5번째 = 5/1 4/2 3/3 2/4 1/5 ... 대각선 방향으로 지그재그로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. 개수는 한 줄에 차례로 1개, 2개..
백준 [2292] - 벌집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start = 1 least = 1 while N > start: start = start + 6 * least least += 1 print(least) *규칙 찾기 : 1부터 시작하고, 6의 배수만큼씩 증가한다. 1 (1) 2 3 4 5 6 7 (6)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(12) ...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아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(숫자 N) - start에 1을 할당하여, 1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나타낸다. - least를 1로 초기화하여, 입..
백준 [1712] - 손익분기점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C
백준 [1316] - 그룹 단어 체커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count = N for i in range(N): words = list(input().rstrip()) for j in range(len(words)-1): if words[j] == words[j+1]: pass elif words[j] in words[j+1:]: count -= 1 break print(count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(N은 단어의 개수) - count에는 N을 할당하여, 이후에 그룹 단어가 아닐 경우 1씩 감소시킨다. - for i i..
백준 [2941] - 크로아티아 알파벳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words = input().rstrip() alpha = ['c=', 'c-', 'dz=', 'd-', 'lj', 'nj', 's=', 'z='] for i in alpha: if i in words: words = words.replace(i, "#") print(len(words)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rstrip()으로 오른쪽 엔터를 제거해준 뒤, words에 저장한다. - 문제에 크로아티아 알파벳을 변경한 것들을 list형태로 alpha에 각각 저장해준다. - for i in alpha: alpha를 하나씩 꺼내서 i에 ..
// 코드 블럭 복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