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by Yoshi Blinking
백준 [10809] - 알파벳 찾기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S = input().rstrip() alpha = list(range(ord('a'), ord('z')+1)) for i in alpha: print(S.find(chr(i)), end=' '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rstrip()을 통해 오른쪽 엔터를 제거하여 S에 저장한다. (sys.stdin.readline을 사용했기 때문) - ord()로 소문자 a 부터 z까지의 아스키코드 값을 받고, range()로 a부터 z까지의 아스키코드 값의 범위를 표현해주기 위해서 ord('z')에 1을 더해주었다. 그리고 이를 list로 만들..
백준 [11720] - 숫자의 합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num = list(map(int, input().rstrip())) print(sum(num)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map()을 통해 list인 num에 저장한다. - sys.stdin.readline을 사용하게 되면 오른쪽에 엔터까지 포함되기 때문에, rstrip()을 사용하여 제거해준다. - num 안에 있는 값들의 합을 구하기 위해 sum()을 사용하고, 이를 print()로 출력한다.
백준 [11654] - 아스키 코드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 = input() print(ord(a)) - 문자를 아스키코드 값으로 변환해주는 함수 : ord() - 아스키코드 값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함수 : chr()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아 a에 할당해주고, ord()를 사용하여 a의 아스키코드 값을 print()로 출력한다.
백준 [1065] - 한수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count = 0 def hansu(N): if N < 100: count = N else: count = 99 for i in range(100, N+1): hansu = list(map(int, str(i))) if hansu[0]-hansu[1] == hansu[1]-hansu[2]: count += 1 return count N = int(input()) print(hansu(N)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한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 count를 0으로 초기화시켰다. - input()을 문자로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- N을 함수 h..
백준 [4673] - 셀프 넘버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def d(n): n = n + sum(map(int, str(n))) return n notSelfNum = set() for i in range(1, 10001): notSelfNum.add(d(i)) for i in range(1, 10001): if i not in notSelfNum: print(i) - 생성자가 있는 숫자를 만드는 함수 d를 만들고, 매개변수를 양의 정수 n (생성자)으로 받는다. - 생성자가 있는 숫자를 만드는 방법은 문제에서와 같이, sum(map(int, str(n)))을 해주면 양의 정수 n (생성자)의 각 자리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. - 중복 배제 특성과 특정 데이터의 존재 유무를 확인이 용이하다는 특성 때문에 집합 자료형 set을 사용한다. - ..
백준 [15596] - 정수 N개의 합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def solve(a): return sum(a) - 파이썬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, def를 이용해서 선언한다. - solve는 함수의 이름이며, (a)에서 a는 매개변수를 의미한다. (여기서 a는 list이다.) - 함수에는 반환해줘야 하는 return 값이 존재하는데, 여기서는 list인 a의 전체 합을 반환해야 하므로, sum(a)를 return 해준다.
백준 [4344] - 평균은 넘겠지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C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C): num_grade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avg = sum(num_grades[1:])/num_grades[0] students = 0 for i in range(1, len(num_grades)): if num_grades[i] > avg: students += 1 ratio = (students / num_grades[0]) * 100 print(f"{ratio:.3f}%"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C에..
백준 [8958] - OX퀴즈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T = int(input()) for i in range(T): success = 0 grades = 0 case = list(input().rstrip()) for i in range(len(case)): if case[i] == 'O': success += 1 grades = grades + success else: success = 0 print(grades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T에 저장한다. (T는 테스트케이스 개수) - for i in range(T): 테스트케이스 개수 만큼 반복문 for문을 ..
백준 [1546] - 평균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N = int(input()) subject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M = max(subjects) re_sub = list() for i in range(N): re_sub.append((subjects[i]/M)*100) avg = sum(re_sub)/len(re_sub) print(avg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N에 저장한다. (N은 시험 본 과목의 개수)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split()으로 구분하여, int형으로 형변환해서 map()으로 l..
백준 [3052] - 나머지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array = list() for i in range(10): N = int(input()) array.append(N % 42) s = set(array) print(len(s)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array를 list로 선언하였다. - 반복문 for를 사용하여 10개의 수를 입력받아 42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 값을 array에 차례대로 추가한다. - 문제에 따르면 입력받은 10개의 수를 42로 나누었을 때의 값이 서로 다른 것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해야 한다. - 서로 다른 것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중복된 값을 배제할 수 있는 집합 자료형(set)을 사용하였..
백준 [2577] - 숫자의 개수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A = int(input()) B = int(input()) C = int(input()) array = list(str(A*B*C)) for i in range(0, 10): print(array.count(str(i))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A, B, C에 저장한다. - A, B, C를 곱한 값을 str형으로 형변환하여 각각의 문자는 array라는 list에 저장된다. - 반복문 for문을 사용하여 A*B*C의 값에 0~9까지의 숫자가 각각 몇 번 쓰였는지 계산한다. - i를 str형으로 형변환하고, ..
백준 [2562] - 최댓값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mport sys input = sys.stdin.readline array = list() for i in range(0, 9): array.append(int(input())) print(max(array)) for i in range(0, 9): if array[i] == max(array): print(i+1) - sys.stdin.readline을 input에 할당하여 사용하였다. - array를 list로 선언하였다. (참고: array = [] 이렇게도 선언 가능하다.) - list형인 array에 입력한 값들을 저장하기 위해서 반복문 for을 사용했고, 9개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 range(0, 9)로 범위를 설정하였다. (= 0~8) - input()으로 문자를 입력..
// 코드 블럭 복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