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by Yoshi Blinking
백준 [2753] - 윤년
·
카테고리 없음
문제 작성한 코드 year = int(input()) if (year%4)==0 and (year%100)!=0: print("1") elif (year%400)==0: print("1") else: print("0") - input()을 통해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year에 저장한다. - 조건에 따르면 윤년은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/ 400의 배수일 때 이다. - 이를 if~elif~else문으로, 1) 4의 배수이면서 100의 배수가 아닐 때 2) 400의 배우일 때 3) 윤년이 아닐 때 로 나눴다. - 배수인지 확인할 때는, 해당 숫자를 나눠서 나머지가 0이면 배수이고, 나머지가 0이 아닌 다른 수이면 배수가 아니다. cf.) 다른 사람들의 경우, 아래의 코..
백준 [9498] - 시험 성적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score = int(input()) if score >= 90: print("A") elif score >= 80: print("B") elif score >= 70: print("C") elif score >= 60: print("D") else: print("F") - input()을 통해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score에 저장한다. - if~elif~else문을 활용하여 각 점수 별로 성적이 출력되게 한다. - 조건에 따라 90~100 = A / 80~89 = B / 70~79 = C / 60~69 = D / 나머지는 F 로 출력한다.
백준 [1330] - 두 수 비교하기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if a>b: print(">") elif ab → > / a
백준 [25083] - 새싹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print(" ,r'\"7") print("r`-_ ,' ,/") print(" \. \". L_r'") print(" `~\/") print(" |") print(" |") - 단순히 출력하는 문제 - " " 안에서는 ' '는 그대로 출력이 가능하지만, " "는 별도로 \" \" 이렇게 써줘야한다. - 반대로 ' ' 안에서는 " "는 그대로 출력이 가능하지만, ' '는 별도로 \' \' 이렇게 써줘야 한다.
백준 [2588] - 곱셈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 = int(input()) b = int(input()) print(a*((b%100)%10)) print(a*((b%100)//10)) print(a*(b//100)) print(a*b) - (1), (2) : a와 b 각각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을 해준다. - (3) : b가 385라고 했을 때, 일의 자리는 (385%100) = 85 → (85%10) = 5 이렇게 구한 뒤 a와 곱해준다. - (4) : b가 385라고 했을 때, 십의 자리는 (385%100) = 85 → (85//10) = 8 이렇게 구한 뒤 a와 곱해준다. - (5) : b가 385라고 했을 때, 백의 자리는 (385//10) = 3 이렇게 구한 뒤 a와 곱해준다. - (..
백준 [10430] - 나머지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(a+b)%c) print(((a%c)+(b%c))%c) print((a*b)%c) print(((a%c)*(b%c))%c) -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. - split()을 통해 a, b, c를 공백으로 구분한다. - map()을 통해 input().split()을 int형으로 형변환 하여 a, b, c에 차례대로 저장한다. - 조건에 따라 첫째 줄에는 (a+b)%c 를, 둘째 줄에는 ((a%c)+(b%c))%c를, 셋째 줄에는 (a*b)%c를, 넷째 줄에는 ((a%c)*(b%c))%c 를 print()로 출력한다.
백준 [18108] - 1998년생인 내가 태국에서는 2541년생?!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y = int(input()) print(y-543) - 불기 연도는 문제에 따라 y로 변수를 사용한다. - input()을 통해서 문자를 입력받고, int형으로 형변환을 한다. - 불기 연도 - 543 을 해주면 서기 연도가 나온다.
백준 [10926] - ??!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id = input() print(id+"??!") - input()을 통해 문자(아이디)를 입력받는다. - 문자열끼리 연결할 때에는 +를 사용하여 이어준다.
백준 [10869] - 사칙연산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+b) print(a-b) print(a*b) print(a//b) print(a%b) -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. - split()을 통해 a와 b를 공백으로 구분한다. - map()을 통해 input().split()을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a와 b에 저장한다. - 파이썬에서 사칙연산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나눗셈이다. - 단순히 a/b를 하게 되면 float형으로 출력이 된다. - 문제에서는 int형으로 출력되었기 때문에, 나눴을 때 몫을 구하는 // 를 활용하여 출력한다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자주 사용되는 표준 라이브러리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실전에서 유용한 표준 라이브러리 - 내장 함수 : 기본 입출력 ~ 정렬 함수까지 기본적인 함수들 제공 : import 구문 없이 사용 가능한 함수들 (print, input, ... 등등) :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기능들을 포함 - itertools : 파이썬에서 반복되는 형태의 데이터 처리하기 위한 유용한 기능들 제공 : 순열과 조합 라이브러리(완전 탐색 문제) 자주 사용 (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해야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) - heapq : 힙(Heap) 자료구조를 제공 : 우선순위 큐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(다익스트라 와 같은 최단경로 문제) - bisect : 이진 탐색 기능을 제공 - collections : 덱(deque), 카운터(counter) 등의 유용한 자료구조를 포함 - mat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함수와 람다 표현식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함수 함수(Function) : 특정한 작업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놓은 것을 의미 :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코드의 반복을 줄일 수 있다. 함수의 종류 - 내장 함수 : 파이썬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 ex) input, print ... - 사용자 정의 함수 : 개발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함수 함수 정의하기 - 매개변수 :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변수 - 반환 값 : 함수에서 처리된 결과를 반환 - 기본 형태 def 함수명 (매개변수) : 실행할 소스코드 return 반환 값 cf.) def = define의 약자 = 정의하겠다 라는 의미 cf.) 매개변수와 반환 값은 없을 수도 있다. ex) 더하기 함수 예시 def add(a, b): return a+b print(add(3,7)) cf.)..
백준 [1008] - A/B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/b) - AxB 문제와 동일한 형태이다. -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. - split()을 통해 a와 b를 공백으로 구분한다. - map()을 통해 input().split()을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a와 b에 저장한다.
// 코드 블럭 복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