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by Yoshi Blinking
백준 [10998] - AXB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*b) - A-B 문제와 동일한 형태이다. -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 받는다. - split()을 통해 a와 b를 공백으로 구분한다. - map()을 통해 input().split()을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a와 b에 저장한다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반복문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반복문 반복문 : 특정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할 때 사용하는 문법 → 종류) while문, for문 cf.) for문이 더 간결한 경우가 많다. ex) 1부터 9까지 모든 정수의 합 구하기 (while문) a = 1 result = 0 while a = 80: print(i+1, "번 학생은 합격입니다.") ex) 특정 번호의 학생은 제외하고 학생들의 합격 여부 판단 예제 → 조건) scores = [90, 85, 77, 65, 97] / 합격 커트라인 : 80점 이상 / 2번과 4번 학생은 제외 scores = [90, 85, 77, 65, 97] cheating_students = {2, 4} for i in range(0, 5): if i+1 in cheating_students: continue 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조건문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조건문 조건문 :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문법 : if를 붙여서 비교연산자를 통해 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. cf.) 파이썬에서는 코드의 블록(Block)을 들여쓰기로 지정한다. cf.) tab 사용 vs space 사용 → space 사용 시, 4개 사용하는 것이 표준 조건문의 기본 형태 : if ~ elif ~ else ex) 성적 구간에 따른 학점 출력 예제 score = 95 if score >= 90: print("학점 A") elif score>=80: print("학점 B") elif score>=70: print("학점 C") else: print("학점 F") 비교연산자 : 특정한 두 값을 비교할 때 사용 → 종류) ==, !=, >, =, =80: result = "Success" e..
Rising Camp (라이징 캠프) 4기 - Android 클래스 후기
·
🏃‍♂️ 대외활동/라이징캠프 4기
이전 글에도 언급했듯이 나는 2월달부터 Rising Camp 4기 Android 클래스를 들었다. Rising Camp를 수료하고 이제서야 후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. Rising Camp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는 이전 글을 참고하면 될 것 같고, 이번 글에서는 후기 위주로 다룰 예정이다. 'Rising Camp (라이징 캠프) 4기 - Android 클래스 지원' 글 보러가기 👉 https://bingguel.tistory.com/27 1. Rising Camp 파헤쳐보기 Rising Camp는 [6주 수업 + Rising Test 2주] 이렇게 총 8주 동안 진행된다. [수업] 수업은 6주 간 전부 온라인(Google Meet)으로 진행되었고, 일주일에 1번 3시간 정도 정해진 요일에 수업을 듣게 된다.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기본 입출력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표준 입력 방법 자주 사용되는 표준 입력 방법 - input() 함수 : 한 줄의 문자열을 입력 받는 함수 - map() 함수 :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각각 특정 함수를 적용할 때 사용 ex)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를 입력 받을 때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→ map() 함수를 쓰지 않고 input().split()을 하게 되면 문자열 리스트가 만들어지게 된다 ex) 공백을 기준으로 구분된 데이터의 개수가 많지 않을 때 a, b, c = map(int, input().split()) → map(int, input().split()) 이렇게 묶어주는 것을 '패킹(packing)' 이라고 한다 → print(a, c, c, d) 를 해주게 되면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빠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사전(딕셔너리), 집합 자료형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사전(딕셔너리) 사전(딕셔너리) 자료형 : 키(key) 와 값(value)의 쌍을 데이터로 가지는 자료형 cf.) 리스트와 튜플처럼 순차적으로 값을 저장하는 자료형들과는 다르다 : 변경 불가능한 자료형을 키로 사용 (해당 키 값으로 원소에 접근 가능) : 해쉬 테이블을 사용하므로, 데이터 조회 및 수정에 있어서 O(1)의 시간에 처리할 수 있다 data = dict() data['사과'] = 'Apple' data['바나나'] = 'Banana' data['코코넛'] = 'Coconut' print(data) #딕셔너리 객체에 특정 키가 존재하는 지 확인 if '사과' in data: print("'사과'를 키로 가지는 데이터가 존재합니다.") #결과 #{'사과':'Apple', '바나나':'Banana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문자열, 튜플 자료형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문자열 문자열 자료형 - 문자열 변수 초기화 : "(큰따옴표) or '(작은따옴표) 이용 - 문자열 안에 " or ' 이 포함되어야 하는 경우 : 전체 문자열을 " 로 구성하는 경우, ' 를 포함할 수 있다 : 전체 문자열을 ' 로 구성하는 경우, " 를 포함할 수 있다 : 백슬래시(\) 를 사용하여 " or ' 를 원하는 만큼 포함시킬 수 있다 #백슬래시를 사용하여 "를 나타내기 data = "Don't you know \"Python\"?" print(data) #결과 #Don't you know "Python"? 문자열 연산 : 문자열 변수에 + 를 이용하면 문자열끼리 연결된다 : 문자열 변수를 특정 양의 정수와 곱하면, 그 만큼 여러 번 더해진다 : 문자열도 인덱싱 / 슬라이싱 이 가능하다 (단,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리스트 자료형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리스트 리스트 자료형 :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담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형 : 배열 및 연결 리스트와 유사 : 리스트 대신 배열 or 테이블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리스트 초기화 : 대괄호( [] ) 안에 원소를 넣어 초기화 : 쉼표(,)를 통해 원소 구분 : 비어있는 리스트 선언 : list() or [] : 인덱스로 리스트 원소에 접근 (인덱스는 0부터 시작) #크기가 N, 모든 값이 0인 1차원 리스트 초기화 n = 10 a = [0]*n print(a) #결과 [0, 0, 0, 0, 0, 0, 0, 0, 0,0]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- 인덱싱(Indexing) :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에 접근하는 것 : 인덱스 값은 양의 정수, 음의 정수 모두 사용 가능 : 음의 정수를 넣으면 원소 거꾸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파이썬 - 수 자료형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파이썬의 자료형 종류 자료형 종류 : 정수형, 실수형, 복소수형, 문자열, 리스트, 튜플, 사전(딕셔너리) 등... • 정수형 :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 : 양의 정수, 음의 정수, 0 • 실수형 :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자료형 : 변수에 소수점 붙인 수를 대입하면 바로 실수형 변수로 처리 : 소수부/정수부 가 0인 소수는 0 생략해서 작성 가능 ex) a = 5. → 5.0 / b = -.7 → -0.7 지수 표현 방식 : e나 E를 사용하여 지수 표현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: e나 E = 10의 지수부 ex) 1e9 = 1 x 10^9 : 최단 경로 알고리즘에서 도달할 수 없는 노드에서 최단 거리를 무한(INF)로 설정 : 가능한 최댓값이 10억 미만일 때, 무한(INF)의 값으로 1e9를..
[이것이 코딩 테스트다] 알고리즘 성능 평가
·
💻 코딩테스트/이것이 코딩 테스트다
시간 / 공간 복잡도 시간 복잡도 :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 분석 공간 복잡도 : 알고리즘의 메모리 사용량 분석 (복잡도↓ → 알고리즘 Good) cf.) 복잡도 : 성능적인 측면에서의 복잡도 - 시간 복잡도가 높다 = 수행 시간이 길다 - 시간 복잡도가 낮다 = 수행 시간이 짧다 - 공간 복잡도가 높다 =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다 - 공간 복잡도가 낮다 = 많은 메모리가 필요하지 않다 빅오 표기법 빅오 표기법 : 복잡도를 표기하는 방식 : 가장 빠르게 증가하는 항만을 고려하는 표기법 : 극한의 개념으로 생각하면 쉽다 ex) 3N^3 + 5N^2 → O(N^3) 빅오 표기법 성능 순서 (← Good) (Bad →) O(1) - O(logN) - O(N) - O(NlogN) - O(N^2) - O(N^3) -..
백준 [1001] - A-B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-b) - A+B 문제와 동일한 형태이다. -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. - split()을 통해 a와 b를 공백으로 구분한다. - map()을 통해 input().split()를 int형으로 형변환하여 a와 b에 저장한다.
백준 [1000] - A+B
·
💻 코딩테스트/백준
문제 작성한 코드 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 print(a+b) - 첫 줄에 a와 b가 주어지기 때문에 따로따로 작성할 수 없다. - input()을 통해 문자를 입력받는다. - split()을 통해 a와 b를 공백으로 구분한다. - map()에 대해서 아직 자세히 공부하지는 않았으나, map(수식, 변수 값) 으로 사용하여 변수 값들에 수식을 동시에 적용시켜 반환할 때 사용한다고 한다. (앞으로 많이 나오기 때문에 통으로 외워버리는 것이 좋다고 한다.)
// 코드 블럭 복사